지난 3개월 동안 재미있게 본 소식들을 공유드리고 싶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우선 시장은 공급이 수요보다 부족하다고 판단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석유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각 나라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여러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우선 Russia의 경우 Ukraine 전쟁 이후에 여러 가지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post war 기준 최고 석유 수출량 및 Revenue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4월 기준 Revenue가 1.5 billion $ 상승하였고, 80%의 석유 수출이 중국, 인도를 통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Oil and gas journal, July 2023).
3. Seismic Survey (탄성파 탐사)는 석유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탄성파를 땅으로 쏴 주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지난 10년 동안 저유가 당시에는 이러한 탐사활동이 저조했었는데 2023년 기준 14%의 수요 증가가 예상이 된다고 합니다.
3. Gulf of Mexico에서는 기존보다 더 깊은 곳에 존재하는 석유를 생산하기 위해 8세대 drilling platform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Drilling offshore platform의 경우 깊이에 따라 generation을 나누고 있습니다. drilling 깊이가 깊어질수록 땅으로 들어가는 drilling pipe가 더 높은 온도와 압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견디기 위해서는 장비가 더 비싸지게 됩니다. 여태까지 업계에서 사용되었던 가장 깊은 시추를 위한 generation 등급은 7세대 (12000ft, 15000psi) 였습니다. 하지만 2022, 2023년에 Transocean이 Gulf of Mexico에 두 대의 8세대 시추플랫폼 (20000 psi) 을 도입했다고 합니다.
4. Offshore 자원개발을 위해서는 아시다시피 해양플랜트 platform을 조선소에서 건조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생산전까지 수년의 lag time이 존재합니다. 이 construction으로 인한 lag time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case study가 이전보다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 케이스 스터디는 최근 현대중공업에서 만들어진 Murphy Oil의 King's Quay를 다루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Deep water platform을 만드는 데 4~5년이 걸렸지만, 해당 플랫폼의 경우 코로나 시국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3년 내에 플랫폼을 완성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요인으로는 Murphy oil이 소유하고 있는 기존 해상 플랫폼의 디자인을 기반으로 설계를 진행, 한 조선소에서 topside & hull에 대한 건설 수행, 디자인 단순화 등을 들고 있습니다.
5. Sinopec, CNPC와 같은 중국국영석유회사들은 Xinjiang 지역의 석유 생산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시추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최근 최초로 10000m의 Ultradeep drilling을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럽, 미국과 같은 서구권 국가들에서는 ESG 영향으로 인해 생산에 impact를 미칠 수 있는 정부 규제나 소송 등이 진행되거나 이에 대한 새로운 결과가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 알라스카 LNG 사업
미국 DOE(Departmet of Energy)가 Alaska에게 NON-FTA 국가들에게도 LNG를 수출할 수 있는 PERMIT을 주었다고 합니다 (Oil and gas journal, May 2023). 원래 Permit은 2020년 트럼프 정부 때 주어졌었는데 환경평가로 인해 Hold 되어 있다가 저번 달에 Permit을 받았다고 합니다. 기존 LNG 수출 지역이었던 Gulf of Mexico나 Qatar에 비해 수요지에 가깝게 위치해 있는 게 장점이라고 합니다. 수출을 위해 Alaska에 LNG export terminal을 공사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환경단체가 따로 해당 프로젝트에 반대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한 바 있었는데 법원에서 기각하였다고 하네요 (Oil and gas journal, June 2023).
2. 미국 연방법원에서 바이든 정부가 새로 정의한 Clean Water Act (CWA) 반대
CWA는 미국의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연방법이라고 합니다. CWA는 기본적으로 수질 보호를 위해 어떤 지역에 대한 개발을 금지해야할 지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최근 바이든 정부가 2023년 1월에 이 개발금지지역에 대한 정의를 확장시키려고 했습니다. 만약 정의가 확장된다면 석유 개발을 포함한 많은 개발 활동들에 영향이 갈 수 있었는데, Supreme court에서 이를 기각시키고 돌려보냈다고 하네요.
3. UK에서는 UK 북해 oil 생산에 대해 세금을 더 부과하는 반면 Norway에서는 북해지역 생산에 세금감면 인센티브를 주고 있어 Norway 북해지역에서 더 많은 drilling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Offshore Magazine May 2023)
감사합니다.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상반기 석유업계 근황 (0) | 2024.07.22 |
---|---|
8~11월 석유업계 동향 (2) | 2024.01.15 |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 2023 후기 및 심해 광물 개발 (0) | 2023.05.08 |
4월 석유업계 소식 (0) | 2023.04.27 |
한중일 석유 개발 현황 (0) | 2023.02.20 |